에틸렌 (Ethylene, C2)
무색의 기체, 고압저온(-104℃>) 환경에서 액상
석유 또는 천연가스등 탄화수소(납사, 에탄, LPG,Gas oil, NGL 등)를 열분해하여 제조
폴리에틸렌(PE), 에틸렌글리콜(EG), PVC, SM,아세트알데히드등 에틸렌 계열 제품의 원료로서석 유화학공업의 대표적인 기초유분임
프로필렌 (Propylene, C3)
무색의기체
납사등 분해시 에틸렌과 병산되거나 FCC의 부생가스로부터 추출, 또는 프로판을 탈수소하여 제조
폴리프로필렌, AN, PG, EPR, 옥탄올등 프로필렌 계열 제품의 원료로서 에틸렌과 함께 석유화학공업의 대표적인 기초유분임
부타디엔 (Butadiene)
상온에서 독특한 냄새가 있는 기체
납사분해시 부생하는 C4유분으로부터 추출하거나 부탄을 탈수소하여 제조
SBR, BR 등 여러 종류의 합성고무와 ABS, 1, 4-BDO 등의 원료
벤젠 (Benzene)
방향족계 탄화수소의 대표적 제품으로 방향(냄새)이 있는 액체
납사분해설비(NCC)에서 에틸렌등의 기초유분과 함께 병산되거나, 납사개질유(Reformate Naphtha)로부터 톨루엔, 자일렌과 함께
추출되어 생산됨. 톨루엔의 탈알킬방법으로도 생산가능
SM, 카프로락탐, 알킬벤젠, 의약품, 농약, 유기약품 등의 원료
톨루엔 (Toluene)
방향이있는액체
납사분해설비나 납사개질유로부터 벤젠, 자일렌 등과 함께 생산
향료, 화약, TDI, 사카린등의 원료, 용제등
자일렌 (Xylene, 크실렌)
방향이 있는 무색의 액체
납사분해설비나 납사개질유로부터 벤젠, 톨루엔 등과 함께 생산, 톨루엔의 탈알킬방법으로도 생산 가능
주로 파라자일렌(PX)으로 분류∙정제되어 사용
이염화에틸렌 (Ethylene Dichloride,EDC)
무색 유상의 액체
에틸렌과 염소(Cl)와의 반응으로 제조
대부분 VCM의 원료로 사용
비닐클로라이드모노머 (Vinyl Chloride Monomer, VCM)
무색으로 약간의 감미가 있는 기체
EDC를 열분해하여 제조
대부분 PVC의 원료로 사용
스티렌모노머 (Styrene Monomer,SM)
방향이 있는 무색의 액체
벤젠과 에틸렌을 원료로 합성한 에틸벤젠을 반응시켜 제조
폴리스티렌(PS), SBR, ABS, 도료등의 원료
올소 자일렌 (Ortho-Xylene, OX)
무색의 투명한 액체
(혼합)자일렌을 증류하거나 양성화하여 제조
무수프탈산(PA) 등의 원료
파라 자일렌 (Para-Xylene, PX)
무색의 투명한 액체
(혼합)자일렌을 증류하거나 양성화하여 제조
TPA/DMT 의 원료로 대규모 소비됨
프로필렌옥사이드 (Propylene Oxide,PO)
무색의 휘발성 액체
프로필렌과 염소를 원료로 제조, 또는 프로필렌을 과초산이나 에틸벤젠의 과산화물로 직접 산화하여 제조 PG, PPG 등의원료
저밀도폴리에틸렌 (DensityPolyethylene, LDPE)
상온에서 투명한 고체(분말 또는 입상)
대표적인 합성수지로, 에틸렌을 중합하여 제조
밀도가 0.91~0.94인 것으로, 결정화가 낮아 가공성과 유연성, 투명성이 우수
농업용∙포장용 투명필름, 전선피복, 각종랩 등의 원료
고밀도폴리에틸렌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반투명고체(분말 또는 입상)
대표적인 합성수지로 에틸렌을 중합하여 제조
밀도가 0.94 이상인 것으로, 강도가 우수하나 유연성, 가공성은 떨어짐
일회용쇼핑백, 각종용기, 컨테이너, 파이프 등의 원료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P)
PE 와 더불어 석유화학제품을 대표하는 열가소성수지로 고체
프로필렌을 중합하여 제조
인장강도와 충격강도, 표면강도가 우수하고, 내열∙내약품성이 좋음
포대용백, 필름, 섬유, 자동차 및 전기∙전자부품, 컨테이너, 일용품 등의 원료로 가장 폭넓게 사용됨
폴리스티렌 (Polystyrene, PS)
스티렌모노머(SM)를 중합하여 제조하는 열가소성수지로서 고체
일반용(GP), 내충격성(HI), 발포성(EPS) 등이 있음
가전제품의 케이스 및 부품, 유제품용기, 단열재나 발포포장제∙충격완충제(EPS) 등의 원료로 사용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옅은 아이보리색의 고체
아크릴로니트릴과 부타디엔, 스티렌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공중합체
착색이 용이하고 표면광택이 아름다움. 기계적, 전기적 성질 및 내약품성이 우수
가정용, 사무실용 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표면소재로 주로 사용
폴리염화비닐 (Polyvinyl-Chloride, PVC)
VCM 의 중합으로 얻어지는 수지로 무취의 분말
내약품성, 난연성, 전기절연성이 양호하지만 열이나 자외선에 안정하지 못하여 안정제가 첨가돼야함
유연성이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가소제와 함께 사용됨
바닥재와 창틀, 파이프등 주택∙건설용으로 주로 사용, 농업용필름 및 인조피혁 등의 원료
아크
아크릴로니트릴 (Acrylonitrile, AN)
달콤한 냄새를 지닌 액체
프로필렌, 산소, 암모니아혼합가스를 합성(SOHIO 법)하여 제조
아크릴섬유, ABS, NBR 고무등의 원료
카프로락탐 (Caprolactam)
액상 또는 플레이크상
벤젠과 수소를 반응시켜 얻어진 사이클로헥산을 공기산화하여 사이클로헥사논을 만든 후, 암모니아와 합성하여 제조
나일론섬유(나이론6) 및 나일론수지의 원료로 의복이나 타이어코드, 어망, 카펫등의 형태로 사용됨
테레프탈산 (Terephthalic Acid,TPA)
백색분말
파라자일렌(P-Xylene)을 산화시켜 제조
EG 와 함께 투입되어 폴리에스터섬유, PET Bottle, 폴리에스터 타이어코드 등의 원료로 사용됨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Dimethyl Terephthalate, DMT)
백색결정
파라자일렌(P-Xylene)을 산화시킨 후 메탄올과 반응시켜 제조
EG 와 함께 투입되어 폴리에스터섬유 및 Film 의 원료로 사용됨
에
에틸렌글리콜 (Ethylene Glycol,EG)
무색무취의 액체
에틸렌을 산화시켜 생산된 산화에틸렌(EO)을 물과 반응시켜 제조
부동액의 원료, TPA(or DMT)와 함께 투입되어 폴리에스터제품 원료로 사용
스티렌부타디엔고무 (Styrene Butadiene Rubber, SBR)
스티렌모노머와 부타디엔을 중합하여 제조, 고무상
대표적인 합성고무로 천연고무에 비하여 내마모성과 내노화성, 내열성이 우수함
주로 타이어에 천연고무 및 카본블랙과 함께 사용됨
부타디엔고무 (Butadiene Rubber, BR)
부타디엔을 중합하여 제조, 고무상
탄성이 좋으며, 내한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
타이어, 튜브등 고무제품의 원료, 합성수지의 충격개량제로도 사용
석유수지 (Petroleum Resin)
흰색(수첨) 또는 노란색의 무취고체 입상
납사분해시 생산되는 분해잔사를 합성하는 열가소성수지로, C5계와 C9계, C5/C9 공중합, DCPD, Water white 수지가 있음
페인트, 잉크, 접착제 등의 원료
카본블랙 (Carbon Black)
흑색이나 진회색의 분말
석탄계의 크레오소트유(Creosote) 혹은 석유계의 중질유(FCC-Oil)를 불완전 연소시켜 제조
주용도는 고무보강제의 원료로서 타이어의 마찰, 마손,
TDI (Toluene Diisocyanate)
백색 또는 담황색의 액체 또는 고체
톨루엔을 원료로 하는 톨루엔디아민(TDA)을 포스겐과 반응시켜 제조
PPG 와 섞여서 주로 연질폴리우레탄폼(스펀지류) 또는 페인트∙접착제∙실란트의 원료로 사용
MDI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백색 또는 미황색의 고체
아닐린에 포르말린을 반응시켜 산성 축합을 한 후 포스겐과 반응시켜 제조
PPG 와 섞어서 주로 경질폴리우레탄폼(건축용, 냉장고용 단열제)으로 사용되고, 자동차범퍼(RIM)나 합성피혁, 스판덱스의 원료로도
사용됨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철강 생산순위 - 포스코 4위 (0) | 2016.01.02 |
---|